-
라디오노드, 국군의무사령부 공식 납품 제품 선정 -이데일리
라디오노드, 국군의무사령부 공식 납품 제품 선정등록 2016-12-15 오후 4:14:21수정 2016-12-15 오후 4:14:21[이데일리 e뉴스 최성근 기자] 데키스트의 백신 냉장고 모니터링 전용 모델인 라디오노드가 군납시장에 진출한다.업체 측은 15일 “국군의무사령부가 의료분야 빅데이터 시스템 구축 사업에 필요한 의료용 냉장고 모니터링 제품의 입찰을 진행, 데키스트의 라디오노드를 공식 납품 제품으로 선정했다”며 이같이 밝혔다.라디오노드는 저비용 고효율의 실시간 온습도 모니터링 제품으로, USB 방식의 온도센서로 측정된 데이터를 현장에 기 설치된 인터넷 망을 활용하는 이더넷 데이터 전송장치를 통해 모니터링 소프트웨어에 전송하게 된다. 전송된 데이터는 모니터링 소프트웨어인 타파쿨로에서 처리된다.업체 측은 “타파쿨로 365는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방대한 저장용량과 상세한 기능을 자랑한다. 스마트폰을 비롯한 다양한 기기에서 일체의 제약 없이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과거 데이터 확인 및 다운로드, 긴급 사용자 알람 서비스 등을 이용할 수 있다”며 “또한 보고서 자동생성 기능으로 매일 수기로 작성하는 백신보관온도기록서를 따로 작성하지 않아도 돼 효율적인 업무 처리가 가능하며, 시간당 7원의 비용으로 가격 부담도 크게 덜 수 있다”고 했다.타파쿨로365는 현재 아주대병원, 분당제일병원 등의 민간 병원에서 사용 중이며, 임대형소프트웨어(SaaS)로 제공된다.한편, 이번 입찰에 선정된 데키스트는 국군의무사령부의 경우, 군 보안상의 문제로 네트워크 제품을 사용할 수 없는 만큼 국방망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PC 설치형 모니터링 소프트웨어를 따로 제공해 편의성을 높였다.저작권자 © 이데일리 -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4139366612878848&mediaCodeNo=257&OutLnkChk=Y
16.12.15 -
불량 백신, IoT 기술로 잡는다…모니터링 솔루션으로 주목 -디지털타임스
불량 백신, IoT 기술로 잡는다…모니터링 솔루션으로 주목올해 초 역대 최대 규모의 불량 백신 유통사건을 겪은 중국이 의약품 도매상의 백신 판매를 금지하는 개정안을 발표했다.백신은 기본적으로 계란 등에서 추출한 단백질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2~8도 사이로 저온 보관되지 않으면 변성을 일으키는데, 이를 지키지 않은 불량 백신이 중국 20여개 성에 유통된 것. 유통된 불량 백신은 천억 원 규모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미국 역시 백신 온도 관리를 국가에서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있다. 그 결과 대부분의 미국 의료 시설들이 자동 온도관리시스템 및 모니터링을 통해 백신 온도 관리에 집중하고 있다. 미국의 임상연구분야의 잡지인 Medical Lab MANAGEMENT magazine에서 발표한 통계자료에 의하면 병원 연구실의 절반 이상이 자동 온도 모니터링을 통해 관리를 하고 있다고 알려졌다.우리나라의 경우는 메르스 사태 이후 해외에서 통용되는 국제 인증인 JCI 인증이 주목받고 있다. 5일 동안 16개 부문, 298개 기준, 1225개 항목으로 실사를 진행하는데 온도 모니터링 및 알람에 대한 항목도 포함되어 있어 인증 획득 시 병원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그러나 인력이 부족한 대부분의 병원들로서는 실시간으로 온도를 모니터링하고 이를 체계화하는 것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이와 관련 (주)데키스트는 최신 IoT기술이 접목된 라디오노드 제품을 활용한 솔루션을 선보이고 있다. USB방식의 온도센서인 UA30으로 실시간 온도를 측정한 후 병원에 기 설치된 인터넷 망을 활용하여 이더넷 데이터 전송창지인 RN171 모델이나 와이파이 데이터 전송장치인 RN172 모델을 통해 SaaS(Soft as a Service)형태의 소프트웨어인 타파쿨로365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이 그것.라디오노드 단말기로부터 전송 받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타파쿨로365가 온도 기록서를 자동 생성하며 비교 그래프까지 제공한다. 데이터는 최소 1분 단위로 전송되며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PC나 스마트폰으로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다.또한 백신의 취급과 보관에 필수적인 경보 알람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설정된 온도값을 벗어나거나 정전이 발생했을 때 이를 전화 및 문자로 알려준다.전문 판매사인 ㈜와이즈맥스 관계자는 “이미 수많은 병원에 RN171 모델을 사용한 라디오노드 백신 솔루션을 적용했다”면서 “솔루션 적용 이후 실시간으로 백신 냉장고 온도 확인이 가능하고, 수기로 기록할 필요가 없어 업무의 효율성이 높아졌다는 평가다”라고 전했다. 특히 “백신 냉장고 외에 혈액냉장고, 급식실 냉장고, 제약사의 항온항습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라디오노드 온습도 모니터링 솔루션을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다.한편, 오는 10월 20일(목)부터 22일(토)까지 대한병원협회의 주최로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제3회 대한민국 국제병원의료산업 박람회(K-HOSPITAL)’에 방문하면 와이즈맥스의 부스에서 라디오노드 온습도 모니터링과 관련된 다양한 제품 및 솔루션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으며, 전시 현장에서 현장 할인 이벤트로 주문 접수도 가능하다. 또한 내년 3월에 예정인 33회 국제의료기기-병원설비전시회(KIMES 2017)에서도 제품을 확인해볼 수 있다.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6092702109923809007디지털타임즈cskim@dt.co.kr
16.09.27 -
보관 까다로운 백신, 효과적인 관리법은? -SBS Biz
보관 까다로운 백신, 효과적인 관리법은?사스, 메르스 등의 여파로 감염병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최근 상당히 높아졌다. 우리나라의 법정 감염병은 크게 6가지로 분류되는데, 그 중에서도 1군 감염병은 한 번 발생하고 나면 전염 속도가 빠르고, 집단 발생의 우려가 커 발생 즉시 방역 대책이 필요한 질병이다.감염병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대부분은 백신으로 예방이 가능하다. 다만 백신의 관리 및 보존이 꽤 까다로운 편이다. 특히 백신은 온도에 민감해 2~8도 사이의 저온 보관되지 않으면 백신 속 단백질 성분이 변성을 일으켜 인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폐기해야 한다.따라서 백신의 올바른 취급과 보관을 위해서 필수적으로 온도기록서를 비치하고 기록해야 하며, 경보 알람 시스템 구축이 필수적이다. 백신 전용 냉장고에 백신을 보관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대안인데, 이 경우 레코더 형태의 기록은 가능하지만 온도, 습도의 변화에 따른 알람 시스템이 없는 경우가 많아 병원 관계자들의 관리 부담이 크다.이러한 가운데 온도 및 습도 데이터로거 ‘라디오노드’가 백신냉장고의 온도 및 습도를 효과적으로 관리해주는 시스템으로 주목받고 있다.백신냉장고에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의 라디오노드 단말기를 부착하면, 실시간으로 온습도를 측정해 와이파이, 랜을 사용해 데이터 수집을 하고, 인터넷 망을 통해 SaaS(Software as a service)형태의 소프트웨어인 타파쿨로365로 전송한다. 데이터 값은 최소 1분 단위로 전송되며 PC나 스마트폰을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더불어 자동 보고서 생성, 비교 그래프 생성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 모니터링이 가능하다.전화 및 문자 알림 설정을 통해 백신냉장고에 설정한 온도 값이 달라지거나 정전 발생 시 즉시 알림 서비스도 제공된다. 병원 측은 스마트폰을 통해 백신냉장고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점검할 수 있어 백신 관리의 부담이 적고, 비용 부담도 줄어들게 된다.한편, 효율적인 백신 관리 확산을 위해 오는 10월 20일부터 22일까지 서울 강남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제3회 대한민국 국제병원의료산업 박람회(K-HOSPITAL)에 라디오노드 관련 제품과 타파쿨로365 웹서비스가 전시될 예정이다. ㈜와이즈맥스 부스에서 라디오노드 등 다양한 제품 및 솔루션을 직접 체험할 수 있다.입력 : 2016-07-04 14:56 ㅣ 수정 : 2016-07-04 15:02ⓒ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https://biz.sbs.co.kr/article/10000809810
16.07.05 -
저비용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중소기업 부담 줄인다 -디지털타임스
저비용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중소기업 부담 줄인다냉장고 및 냉동고 등의 식품 저장창고나 의약품 보관창고, 바이오 연구소 등에서는 실시간으로 온도 및 습도를 관리하고, 에너지 소비 상태를 점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이때 사용하는 것이 데이터로거다. 온도나 습도, 전압 등의 모니터링을 요하는 장소나 부위에 적용, 실시간 데이터 관찰 및 주기적인 기록/관리가 가능하다.그러나 대부분 가격 부담이 크고 현장 상황에 따라 이용이 불편한 경우가 있어 중소기업들의 고민이 늘고 있다. 상당수 업체들이 전문적인 스마트팩토리 도입을 필요로 하지만 비용 및 관리 등의 현실적인 벽에 부딪히는 것이다.이러한 가운데 ㈜데키스트(대표 우원희)의 산업용 유무선 데이터로거 전문 브랜드 라디오노드(RADIONODE®)에서 ‘RN172 와이파이 데이터로거’를 출시했다.RN172 와이파이 데이터로거는 습도, 온도, 압력, 유량, 가스 등의 현장 정보를 측정하여 와이파이로 송신하는 장치로, USB 방식 교체형 센서 지원과 이더넷 데이터 전송, 전화 및 문자 알람 기능 등을 갖추고 있다. 저비용 고효율로 스마트팩토리 구축이 가능한 보급형 네트워크 구축기로 출시돼 다양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특히, RN172 구매 시 SaaS(Software as a Service) 형태로 제공하는 ‘타파쿨로365’를 활용하면, 기존의 산업용 기록계나 메모리 방식의 데이터로거 보다 훨씬 손쉬운 관리가 가능하다는 것이 업체 측 설명이다.지난해 베타 버전으로 선보였던 타파쿨로365는 올해 정식 버전인 S2 서비스로 출시됐다.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기본 기능 외에 유료 회원이 되면 등급별로 데이터 채널의 저장소 제공, 다양한 형식의 보고서 자동생성, 긴급 알람, 사용 이력 관리 등의 기능이 제공된다.무엇보다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해 PC나 스마트폰을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것이 장점이다. 이상 발생 시 알람을 발생시켜 빠른 대응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다양한 형태의 보고서로 완성 시킬 수 있어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미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 와이파이망을 사용하기 때문에 추가 설치 비용이 없다.이 밖에도 전문적인 스마트팩토리 도입을 준비 중인 경우, 타파쿨로365와 연동 없이 MODBUS TCP, HTTP GET 등의 네트워크 기능을 사용하여 아날로그 센서 연결도 가능해 현장 상황에 따라 유동적인 활용이 가능할 전망이다.cskim@dt.co.kr[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6071102109923809002
16.07.01 -
데키스트, 싱가포르 정보통신박람회서 해외 바이어에 ‘눈도장’ -한경닷컴
데키스트, 싱가포르 정보통신박람회서 해외 바이어에 ‘눈도장’㈜데키스트(대표 우원희)가 ‘2016 싱가포르 정보통신박람회’(Communic Asia 2016)에서 해외 바이어들로부터 뜨거운 반응을 이끌어내며 동남아시아 시장 판매 확대에 청신호를 밝혔다.4대 IT 박람회인 ‘싱가포르 정보통신박람회’는 사물인터넷(IoT), 가상현실, 로봇, 스마트 디바이스/도시 등의 신기술과 관련된 산업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행사다. 올해 박람회는 5월 31부터 6월 4일까지 싱가포르 마리나베이샌즈에서 진행됐다.전세계 53개국 1,800개사 부스가 참여한 가운데, 데키스트는 데이터로거 제품 ‘라디오노드’와 임대형 소프트웨어(SaaS) ‘타파쿨로365’를 선보였다.회사 관계자는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호주, 태국,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 지역 7개국 70개 업체가 방문해 제품 문의와 견적 문의를 진행했다”며 “특히 샘플로 준비한 신제품인 와이파이 제품(RN172)과 이더넷 제품(RN171)이 현장에서 모두 판매될 정도로 반응이 뜨거웠다”고 전했다.이외에도 협력 파트너와의 미팅을 중점 추진하며 동남아시아 진출 가능성을 높였다. 특히 유럽산 데이터로거 제품을 판매하는 유통업자들이 많은 관심을 나타냈다는 후문이다.한편 데이터로거 제품 라디오노드는 실시간 온습도 측정을 통해 유•무선 모니터링을 가능케 하는 장치다. 이미 국내 산업 현장에서 다수 사용되고 있으며, PC나 스마트폰으로도 모니터링을 할 수 있어 편리하다. 데이터 값은 1분 단위로 전송되므로 빠른 대응이 가능하다.라디오노드 단말기를 인터넷 망을 통해 SaaS형태 소프트웨어인 타파쿨로365에 연동시키기만 하면 이상 온도나 정전이 발생 시 전세계 어디에서라도 전화나 문자 알림을 받을 수 있다.실제로 싱가포르 현지 박람회 현장으로 전화가 걸려와 타파쿨로365가 센서 상태를 음성을 알려주는 모습을 시연하자 관람객들의 탄성이 터져나오기도 했다.이외에도 타파쿨로365는 웹 기반 산업용 데이터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며, 그래프를 포함한 보고서 출력과 대용량 데이터 저장소, 다양한 센서 연결 기능 등을 갖추고 있다.앞으로 데키스트는 싱가포르 정부가 최근 스마트네이션(Smart Nation)이라는 국가 비전을 발표하고 사물인터넷(IoT)에 대한 관심을 나타낸 만큼,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동남아시아 데이터로거 시장에서 판매를 확대해나갈 계획이다.한경닷컴 뉴스팀 newsinfo@hankyung.comⓒ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https://www.hankyung.com/news/article/201606138226a
16.06.13 -
소프트웨어로 온도기록부터 통합관리…HACCP 인증 준비하는 중소 업체 타깃 -서울신문
소프트웨어로 온도기록부터 통합관리…HACCP 인증 준비하는 중소 업체 타깃입력 :2016-05-19 14:42ㅣ 수정 : 2016-05-19 17:49 ▲ (주)데키스트의 데이터 관리 웹 소프트웨어지난달 ‘국민 간식’인 순대 및 떡볶이 떡을 만드는 업체들을 대상으로 식품안전관리인증(HACCP·해썹)을 의무적으로 받도록 하는 내용의 식품위생법 시행규칙이 공포됐다.이로써 종업원 2명 이상의 순대 제조업체는 올해 말까지, 종업원 10명 이상의 떡 제조업체는 내년 말까지 HACCP 인증을 받아야 한다.식품제조사가 HACCP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냉장·냉동의 온도기록일지(CCP)를 관리, 작성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자동화된 계측 장비와 고가의 소프트웨어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이같은 준비를 갖춘 뒤, 실제로 HACCP 인증을 받으려면 4억~5억원 가량의 비용이 소요된다는 것이 식품업체들의 설명이다.이런 가운데 온도계측부터 관리까지 가능한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공해 식품업체들의 이목을 끌고 있다.무선 IOT 모니터링 전문업체 ㈜데키스트는 무선 온도, 습도 계측 장비인 ‘라디오노드’와 규모가 작은 시장에 적합하도록 SaaS형태로 개발된 소프트웨어 ‘타파쿨로365’를 통해 이 같은 시스템을 제공한다고 밝혔다.합리적인 가격에 20개의 채널을 무료로 모니터링하며 6개월 치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자동으로 일일 보고서도 생성할 수 있다.또 스마트폰으로 현장의 냉장, 냉동고 온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설계돼, 이상 온도 발생 시 365일 24시간 문자 및 음성으로 통보해주기 때문에 식품업체의 자재 손실을 줄이는 데도 효과적이다.설치는 현장에 이미 구축되어 있는 인터넷 망에 라디오 노드 제품을 구입하여 타파쿨로365에 연동시키기만 하면 되도록 했다. Wi-Fi, Ethernet 등 다양한 통신을 지원하는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어 유동성이 많은 현장에서도 적용하기 쉽다.특히 별도의 관리자 없이 시스템의 구축 및 유지 및 관리가 가능하고, 비용 부담이 크지 않기 때문에 중소식품기업이나 영세업체들이 선호하는 것으로 전해졌다.한 식품업체 관계자는 19일 “HACCP 인증을 위한 정기적인 현장 실사 시 관리기관으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0519500154
16.06.13 -
HACCP 인증 의무화, 중소기업도 온도기록 매일 해야 -아주경제
HACCP 인증 의무화, 중소기업도 온도기록 매일 해야입력 : 2016-05-23 10:25아주경제 김진오 기자 = 최근 정부가 국민의 식품 위생 안전을 위해 순대나 떡볶이 같은 국민 간식도 식품안전관리(HACCP) 인증을 의무적으로 받도록 하는 내용의 시행령을 공포하면서 자금 사정이 열악한 영세 및 중소식품업체들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이러한 상황에서 무선 IOT 모니터링 전문업체 데키스트가 구원투수로 등장해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23일 업계에 따르면 식품 제조사가 HACCP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냉장·냉동의 온도기록일지(CCP)를 관리, 작성해야 하지만 관련 자동 기기 및 소프트웨어를 갖추기에는 많게는 4~5억원에 달하는 비용과 시간적인 부담이 큰데다 수기로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이 현실이다.데키스트의 무선 온도·습도 데이터로거 제품 ‘라디오노드’(RADIONODE®)와 규모가 작은 시장에 적합하게 SaaS 형태로 개발된 소프트웨어 ‘타파쿨로365’는 식품 보관고의 온도계측부터 온도관리까지 가능한 통합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라디오노드를 구입해 타파쿨로365에 연동시키기만 하면 합리적인 가격에 20개의 채널을 무료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으로는 언제 어디서든 냉장·냉동고의 온도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6개월 치의 데이터가 저장되고, 자동으로 일일 보고서를 작성해 주기 때문에 편리하다. 이상이 발생하면 365일 24시간 문자 및 음성으로 알려줘 식품 업체의 자재 손실을 줄이는데도 한 몫 한다.와이파이(Wi-Fi), 이더넷(Ethernet) 등 다양한 통신을 지원하는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어 유동성이 많은 현장에서도 대응 및 적용이 쉽다는 것도 특징이다.회사 관계자는 “주요 공급처였던 삼성바이오에피스, LG화학 등 제약, 화학, 반도체 시장을 넘어 올해부터는 식품 시장을 위해 발 벗고 나서기로 방향을 잡았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https://www.ajunews.com/view/20160523102117305
16.05.26